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내일을 열며] ‘한글 공동체’의 새로운 손님들

입력 2022-12-08 04:05:01


지난 5일 한국문학번역상 시상식이 있었다. 신진 번역가를 대상으로 한 번역신인상 수상자는 모두 17명이었는데, 한글을 정식으로 배우지 않은 외국인들도 포함됐다. 한글을 혼자 공부하다가 번역에까지 도전하게 된 것이다. 최근 디즈니플러스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쇼케이스 취재를 위해 싱가포르를 다녀온 동료 기자는 현장에서 인도네시아 기자를 만났는데 한국어로 서로 대화를 했다고 전했다. 그 인도네시아 기자는 한국 문화에 빠져 한글까지 익히게 됐다고 한다.

한글을 쓰고 말하는 외국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K콘텐츠를 즐기는 외국인들이 ‘한글 공동체’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속속 합류하고 있는 것이다. 뭔가를 굉장히 좋아하다 보면 종종 새로운 언어를 익히는 데까지 나아가게 된다. 그렇게 보면 지금의 K콘텐츠 열풍은 한국어 붐을 예고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실제로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나 한국어 교육기관에 지원자들이 급증했다는 소식을 종종 듣는다. 해외에서 한국어 인기가 중국어나 일본어를 이미 뛰어넘었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국문학번역원에서 운영하는 번역아카데미에도 지원자가 많이 늘었다. 몇 년 전만 해도 수강자를 찾으러 다녀야 했는데 지금은 입학 경쟁률이 4대 1, 5대 1이 된다.

한글 공동체에 새로 입장하는 외국인 손님들을 어떻게 환대할 것인가. 이것은 새로운 고민이다. 한국문학을 세계에 소개하는 번역원의 디아스포라 웹진 ‘너머’ 창간은 주목할 만하다. 세계 700만명 이상의 한인들 중에는 여전히 한글로 글을 쓰는 사람들이 있다. 국내에도 한글로 시를 쓰는 이주 노동자들이 있고, 탈북자 문인들이나 다문화가정 출신 작가들이 있다. 한국문학은 그동안 이들에게 눈길을 주지 않았다.‘너머’는 해외에서 한글로 글쓰는 한인들이나, 외국인이지만 한글로 글을 쓰는 사람들에게 작품 발표의 플랫폼을 제공하자는 의도로 창간됐다. 창간호에는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호주, 미국, 튀르키예, 일본 등에 사는 한인 작가들의 소설과 시, 에세이, 그림이 실렸다. 탈북작가의 글도 볼 수 있다. ‘너머’는 신인문학상도 공모 중이다. 대상은 해외 교민과 국내외 거주 외국인이다. 이 상을 통해 한글로 문학 활동을 하는 외국인 작가가 등장할 것인지 지켜보게 한다.

영국 부커상이나 프랑스 공쿠르상을 보면 아프리카 등 자국 바깥에서 영어나 프랑스어로 작품을 발표한 작가들에게 시상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민자 문학, 디아스포라 문학은 이미 세계문학의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이에 비하면 한국문학은 국경과 국적에 지나치게 고정돼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해 목포시가 운영하는 목포문학상이 상금 1억원의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으로 뉴욕 한인 문단에서 활동하는 교포 작가 이숙종의 ‘보트 하우스’를 선정한 것은 변화의 조짐을 보여준다. 이형권 충남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그동안 교포 문학은 그 작가층이 두텁지 못하고 한글과 관련된 언어 환경이 열악하여 전문성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며 “‘보트 하우스’는 국외의 교포 작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평했다. ‘너머’는 해외의 한인들이 생산하는 한글 문학을 끌어안고, 외국인들이 한국어로 쓴 문학에도 주목하면서, 한국문학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곽효환 번역원장은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한글로 글쓰기’ ‘한글로 문학하기’라는 현상에 주목해 보자”면서 “한국문학을 세계문학으로 바라보자”고 제안했다.

한국문학이 그렇듯 한글 공동체도 더 이상 한국과 한국인으로만 규정하기 어려워졌다. 낯선 외국인 손님들이 몰려오고 있다.

김남중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njkim@kmib.co.kr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