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HOME  >  시사  >  종합

‘한·일 공동선언’ 이후 양국에 ‘한류’ ‘일류’ 바람

입력 2018-10-07 19:15:01


김대중 전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전 일본 총리가 1998년 ‘한·일 공동선언-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채택하면서 양국 관계는 근본적 전환을 맞았다.

김대중정부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은 우리 국민의 이른바 ‘왜색 문화’에 대한 반감 등 우려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2003년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가 일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도리어 일본 내 ‘한류(韓流)’ 열풍이 일어나는 단초가 됐다. 한국에서도 애니메이션과 드라마, 게임 등 분야를 중심으로 ‘일류(日流)’가 유행했다. 최근 들어서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일본 여행과 일본 음식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김대중·오부치 선언의 정신은 정치 분야에서는 지켜지지 못했다. 오부치 전 총리는 선언에서 한반도 식민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했다. 하지만 후임자인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고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등 상습적으로 파문을 일으키자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6년 ‘한·일 관계 특별담화’에서 일본의 영토 도발을 강하게 규탄했다.

한·일 관계는 이명박·박근혜정부에서 악화일로를 치달았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위안부 협상에 진전이 없자 ‘일왕 사죄’ 발언에 이어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독도를 방문하는 초강수를 뒀다. 후임 박근혜정부는 대일(對日) 원칙주의 기조 하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을 더욱 강하게 몰아붙였다. 하지만 과도한 대일 강경 노선 때문에 한·미·일 안보협력 이완 우려가 커지자 박근혜정부는 결국 2015년 위안부 합의와 2016년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하는 등 대일 정책을 급선회했다. 졸속으로 이뤄진 위안부 합의는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에도 한·일 관계의 난제로 남아 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