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HOME  >  시사  >  종합

가계부채 증가 속도 ‘세계 3위’… 갚아야 할 빚 부담은 역대 최고

입력 2018-10-04 04:05:01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세계 3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비교해 갚아야 할 빚 부담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갈수록 커지는 가계부채 부담이 금융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였다. 40여개국 가운데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에 이은 일곱 번째다. 4년 전인 2014년 1분기(81.9%)와 비교하면 13.3% 포인트 올랐다. 순위로는 같은 기간 12위에서 5계단이나 뛰었다.

특히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에 비해 2.3%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중국(3.7% 포인트) 홍콩(3.5% 포인트)에 이은 세 번째다. 지난해에는 8·2 대책 등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을 강화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발표됐다. 그런데도 부채가 늘어난 건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이 증가하는 ‘풍선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지난 1분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12.2%였다. 전 분기보다 0.1% 포인트 올랐다. 국내 가계부문의 DSR은 2000년 9%대에서 2010년 12%대까지 올랐다. 2013년 들어 11%대로 떨어졌다가 2016년 1분기 11.2% 이후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DSR은 가계부채의 위험지표로 통한다. 따라서 DSR이 높아졌다는 건 소득과 비교해 향후 갚아야 할 빚 부담이 커진다는 뜻이다. 한국 가계의 DSR이 커지는 이유는 뭘까. 갚아야 할 빚은 점점 많아지는데 소득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금리 상승도 부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계부채는 자칫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BIS 분석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 포인트 높아지면 경제성장률은 0.1% 포인트 하락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금융위기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요인 가운데 하나가 과도한 가계부채였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