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HOME  >  시사  >  월드

트럼프-시진핑, 서로 보란 듯 각각 ‘매머드급 정상회담’

입력 2018-04-24 05:05:03


■트럼프-마크롱 브로맨스, 대서양 균열 이어줄까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미국 방문길에 올랐다. 마크롱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이란 핵협정(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파리 기후변화협정(파리협정) 그리고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관세 문제를 담판지을 수 있을지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프랑스24방송과 영국 BBC방송 등은 23일(현지시간) 마크롱 대통령이 이날 오후(한국시간 24일 오전) 미국에 도착해 방미 일정을 시작한다고 전했다.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인간관계는 예측하기 힘들다”면서도 “마크롱·트럼프 대통령 간 ‘브로맨스’가 성사된다면 국제사회에서 프랑스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방미 전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우리는 둘 다 정치적 이단아로서 매우 특별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면서 “같은 가치, 특히 자유와 평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마크롱 대통령은 이란 핵협정이나 관세 문제 등에 대해선 양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해 방미 성과를 예단하긴 어려운 분위기다.

미국과 이란은 2015년 핵무기 개발 금지 및 경제제재 해제를 조건으로 프랑스 독일 영국 중국 러시아와 핵협정을 맺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나쁜 협상’이라고 일컬으며 개정안을 내놓지 않으면 탈퇴하겠다고 경고한 상태다. 마크롱 대통령은 “핵협정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더 나은 선택지가 없는 한 미국은 핵협정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발등의 불’은 미국과 EU의 관세 문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수입 철강 제품에 25%, 수입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관세 한시 면제 조치는 다음 달 1일 만료된다.

미국은 파리협정에도 비협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가 가입한 파리협정의 공식 탈퇴를 선언했다. 다만 올 초 “협정 내용을 미국 경제에 유리하게 수정할 경우 복귀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상태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화해 신호?… 시진핑-모디, 두달 새 두번 만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27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회담을 갖는다. 모디 총리는 오는 6월 중국 칭다오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한 국가 정상이 불과 2개월 사이에 특정국을 두 번이나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각종 영토분쟁과 갈등으로 앙숙이었던 양국 관계가 새로운 전기를 맞을지 주목된다.

23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수슈마 스와라지 인도 외무장관은 전날 베이징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두 정상이 오는 27∼28일 우한에서 배석자 없이 1대 1 비공식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두 정상의 이번 회담은 지난해 9월 중국 샤먼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 정상회의 기간 회동 이후 7개월 만이다.

왕 부장은 회견에서 “올해 중국과 인도는 양국 리더들의 지도하에 좋은 관계를 발전시켰고 긍정적인 모멘텀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스와라지 장관은 “비공식 정상회담은 양국 지도자들의 소통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양국과 국제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양국 정상 회동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7일 남북 정상회담과 시기가 겹쳐 주목된다.

모디 총리가 6월 참석하는 SCO 정상회의는 중국이 주도하는 지역안보 정상회의체로 인도와 파키스탄도 지난해 가입했다. 중국은 최근 인도에 양국군 간 연합훈련을 재개하자고 공식 제안하기도 하는 등 해빙 무드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장징쿠이 베이징대 남아시아연구센터 주임은 “이번 회담은 양국이 국경분쟁을 넘어 성숙한 관계를 발전시키고 협력을 위한 새로운 장을 마련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과 인도는 지난해 6월 도카라(부탄명 도클람·중국명 둥랑) 국경에서 73일간 군사 대치하는 등 국경분쟁과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 사업 등을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



입력